목록전체 글 (138)
미대오빠의 일기장

6월은 전체적으로 주식 투자하기 굉장히 좋은 때였습니다. 코로나를 겪고 코스피와 코스닥이 줄줄이 떡상을 하고 있고요. 넷마블을 살펴본다면 역시나 9만원대에서 횡보를 하고 있습니다. 좋은 소식으론 넷마블도 통곡의 벽인 10만 원 돌파를 다시 성공한 달입니다. 바로 6/23 이죠. 6%의 상승을 기록하며 101500원을 찍었으며, 현재 주가는 -3%로 98000원으로 내려오게 되었습니다. 이제 최근 넷마블의 주가 흐름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스톤에이지 출시효과는? 넷마블이 6월 스톤에이지 월드라는 모바일 게임을 출시했다. (TV와 모바일에서 광고 정말 많이 해대고 있다.) 광고가 정말 많이 나와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1분기에 그렇게 광고 마케팅 비용으로 지출이 많았다고 하는데 아직 정신을 못 차..

6/24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가 쌍으로 상승하고 있다. 오후2시 기준 , 오전부터 꾸준하게 +3% 이상의 상승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승이 오랜만이기에 잠깐 배당에 대한 생각을 해봤다. 배당 앞두고 이렇게 오르는 것 일까? 삼성전자 매수 이유는 고배당과 반도체 성장성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그리고 또다른 매수 이유는 삼성전자니까 삽니다. 우리나라 대표주잖아요. ㅎㅎㅎ 일단 배당에 대해서 알아보자면 배당금은 삼성전자 주식을 얼마나 오래 보유했느냐에 상관없이 배당 기준일에 주식을 들고 있으면 받을 수 있다. 매수일 6/26 - 이날까진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종가 보유자, 시간외 매수 보유자도 자격 됨.) 배당락일 6/29 배당기준일 6/30 배당금 지급일 8/20 - 배당금이 입금되는 ..

요즘 안 좋은 소식이 들리고 있죠. 바로 잘 나갔던 바이오기업 신라젠의 상폐 위기 소식입니다. 더욱더 안타까운 건 바로 개인투자자들입니다.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는 이미 나간상태고 대 다수의 주주들이 개인투자자라고 하네요. 신라젠은 신약개발 실패 및 불법 혐의가 드러나 지난달 5일 부터 거래 정지 상태입니다. 신라젠은 어떤 주식일까요? 신라젠의 3년 흐름입니다. 2017년에 급등하여 10만원이상을 유지하다가 지금은 12100원을 기록 중입니다. 역시 바이오 주식하면 기대감과 신약개발이죠? 미국 식품의약국의 임상3상 허가를 받았고, 주가가 폭등했습니다. 시총은 10조원(???)에 육박했으며 이는 무려 코스닥 2위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그렇게 잘나가던 회사가 지난 8월 에프디에이의 임상 중단 권고가 나온 후 하..

페르소나5 스크램블 더 팬텀 스트라이커즈가 출시했다! 오래 기다렸다! 나는 페르소나 시리즈의 광팬이라 기대감이 큰 작품이었지만 무쌍을 합쳤다길래 약간 불안한 마음이 들었다.(무쌍류를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6/18에 배송된 제품을 받아 보았고 바로 초반 플레이한 소감과 느낀 점을 적어보려 한다. 게임을 시작하고 KOEI 로고가 뜨는 순간 아... 이거 무쌍게임이구나 한번 더 느끼게 됬다.^^; 닌텐도 스위치 VS플스 스위치와 플레이스테이션 두가지 버전으로 출시가 되었다. 둘 중 어떤 플랫폼으로 구매할까 고민이 많을 것이다. 일단 나는 어떤 게임이든 두 가지 플랫폼으로 동시 출시할 때는 거의 닌텐도 스위치를 선택하는 편이다. 그 이유는 휴대성 + 슬립모드 + 독 모드 이런 장점이 너무나 크기 때문이다..

요새 코스피 검색어 1위, 코스닥 검색어 1위를 차지 하고 있는 급등주 2개를 소개해볼까 합니다. 몇 주전에 매드팩토와 브릿지바이오에 대한 글을 적은 적이 있는데요, 이보다 훨씬 더 미친주식이 나왔습니다. 바로, 코스피는 삼성중공우 코스닥은 빅텍 이라는 종목입니다. 주식하시는 분은 요즘 이 두종목을 모를 수가 없겠죠? 이 두종목의 주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중공우] 삼성중공우는 무려 1달사이에 10배가 넘는 주가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살면서 본 것중 가장 큰 상승인 것 같네요. 한달만에 5만원이 70만원이 되었습니다. 상한가가 몇번인지 셀수도 없고 거래정지도 여러번 당했지만 계속 오르고 있네요. 5만원에 가지고 있던 분들중 지금까지 삼성중공우를 보유중인 주주가 있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6/19..

이번엔 스타크래프트의 고질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말해보려고 한다. 스타2는 왜 한국에서 실패작이 됬을까? 스타1의 기대에 못 미쳐서일까? 2010에 출시된 10년도 더 된 게임을 갑자기 말하는 이유는 내가 스타2를 굉장히 좋아하지만 아쉬운 점도 많아서 그냥 적어 보고 싶었다. 먼저 나는 스타2를 출시 때부터 10년 가까이 꾸준히 해왔고, 전적을 모두 합하면 10000 전이 넘으며 마스터~다이아를 왔다 갔다 하는 수준이다. 스타2를 알 지도 못하고 말한다고 생각할까 봐 아래 전적 인증부터 해야겠다. 지금까지의 전적 및 리그 지난 10년간 스타2를 정말 좋아해왔구나 싶다. 페이지가 너무 많이 넘어가서 리그 최고순위로 클릭을 해봤다. 마스터리거로 꾸준히 활동하다가 지금 게임을 쉬엄쉬엄하니 다이아로 떨어..